공부 내용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학습에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합니다.
E-comerce 란
이커머스는 과거의 전통적인 시장이 온라인 플랫폼으로 전환된 현대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이다. 소비자들은 직접 상점을 방문하지 않고도,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다. 이커머스의 성장은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 행동의 변화에 힘입어 빠르게 진행되었다.
E-comerce 비즈니스 타입
이커머스 비즈니스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. 기본적으로 브랜드 스토어와 오픈 마켓, 그리고 수직 시장과 같은 특화된 플랫폼들이 포함된다.
- 브랜드 스토어 (Brand Store): 특정 브랜드가 자신의 제품만을 판매하는 온라인 스토어. 예를 들어, Nike, Apple 등의 회사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매장을 의미한다.
- 오픈 마켓 (Open Market): 다양한 판매자들이 모여서 각자의 상품을 판매하는 플랫폼. 아마존, 이베이, 쿠팡 등이 대표적인 예시다.
- 수직 시장 (Vertical Market): 특정 산업군에 집중하여 제품을 판매하는 플랫폼. 예를 들어, 의류, 가구, 전자제품 등 특정 카테고리에 특화되어 있다.
차이점
이커머스 비즈니스 모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.
- 상품의 개수 증가: 온라인으로 전환하면서 물리적인 공간의 제약 없이 더 많은 상품을 취급할 수 있다.
- 상품의 다양성 증가: 소비자는 가격, 스타일, 품질 등 다양한 상품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졌다.
- 판매자 관리: 다양한 판매자들이 하나의 플랫폼에 입점함으로써, 판매자 관리가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. 이는 품질 관리와 고객 서비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.
- 정보 통제의 어려움: 온라인상에서의 정보의 양과 그 통제의 어려움이 증가했다. 잘못된 정보, 가짜 리뷰 등이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.
이러한 특성들은 이커머스가 전통적인 리테일과 구분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. 이커머스 플랫폼들은 이런 특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,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, 트래픽을 관리하는 등의 전략을 세우고 있다.
'BackEnd >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igData] Ch01. 이커머스의 트래픽 특징과 Redis, Kafka 활용 전략 (2) | 2024.09.14 |
---|---|
[BigData] Ch01. 이커머스의 데이터 특징 (0) | 2024.09.14 |
[Loan] Ch07. Skaffold를 활용한 Kubernetes 배포 (1) | 2024.09.14 |
[Loan] Ch07. JIB를 통한 Docker 이미지 생성 (1) | 2024.09.14 |
[Loan] Ch07. 배포 환경 구축 (1) | 2024.09.14 |